맨위로가기

제2차 와카쓰키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은 1931년 4월 14일부터 12월 13일까지 244일 동안 재임한 일본의 내각이다.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대신을 맡았으며,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 이노우에 준노스케 대장대신 등이 주요 각료로 참여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이노우에 준노스케의 재정 정책과 시데하라 기주로의 외교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만주 사변 발발과 10월 사건 등으로 인해 내각은 위기에 직면했다. 만주 사변에 대한 불확대 방침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의 독단적인 행동을 통제하지 못하고, 아다치 겐조 내무대신의 반란과 내각 내 불일치로 인해 1931년 12월 11일 총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카쓰키 레이지로 - 만주사변
    만주사변은 1931년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 사건을 자작극으로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수립한 사건이며, 일본 군국주의 팽창을 가속화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은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대신을 맡아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재임하며 보통선거법 시행 후 정치적 혼란과 금융 공황을 겪었으며, 타이완 은행 구제안 부결로 인해 총사퇴했다.
  • 1931년 일본 - 만주사변
    만주사변은 1931년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 사건을 자작극으로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수립한 사건이며, 일본 군국주의 팽창을 가속화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 1931년 일본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스즈키 간타로 내각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1945년 4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존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과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제2차 와카쓰키 내각
내각 정보
내각 이름제2차 와카쓰키 내각
원어 이름第2次若槻内閣 (일본어)
내각 번호28대
총리와카쓰키 레이지로
총리 임기귀족원, 입헌민정당 총재
천황쇼와
내각 구성 시기
성립일1931년 4월 14일
종료일1931년 12월 13일
전임 내각하마구치 내각
후임 내각이누카이 내각
정치 정보
정치 세력중의원 블록:
|border=darkgray}} 입헌민정당
귀족원 블록:
겐큐카이
고세이카이
도와카이
도세이카이
여당입헌민정당
관련 이미지
와카쓰키 레이지로 총리
와카쓰키 레이지로, 총리
관련 링크
공식 명단공식 명단 (일본어)

2. 재직 기간

1931년 (쇼와 6년) 4월 14일 ~ 1931년 (쇼와 6년) 12월 13일[1]


  • 재직 일수: 244일[1]

3. 내각의 구성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은 입헌민정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직책으로는 내각총리대신 와카쓰키 레이지로, 외무대신 시데하라 기주로, 내무대신 아다치 겐조, 대장대신 이노우에 준노스케, 육군대신 미나미 지로, 해군대신 아보 기요카즈 등이 임명되었다.[1]

그 외 사법대신 와타나베 지후유, 문부대신 다나카 류조, 농림대신 마치다 주지, 상공대신 사쿠라우치 유키오, 체신대신 고이즈미 마타지로가 임명되었다. 철도대신은 에키 타스쿠에서 하라 슈지로로, 척무대신은 하라 슈지로에서 와카쓰키 레이지로로 교체되었다. 내각서기관장은 가와사키 다쿠키치, 법제국장관은 다케우치 사쿠헤이에서 사이토 다카오로 교체되었다.[1]

정무차관과 참여관은 대부분 입헌민정당 소속으로, 1931년 4월 15일에 임명되었다.[1]

다음은 각료, 정무차관, 참여관의 출신 정당별 분포이다.

출신국무대신정무차관참여관
입헌민정당8911
연구회111
동화회100
동성회100
공정회020
군부200
관료000
합계131212


3. 1. 국무대신

직위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와카쓰키 레이지로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외무대신시데하라 기주로무소속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내무대신아다치 겐조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대장대신이노우에 준노스케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육군대신미나미 지로육군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해군대신아보 기요카즈해군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사법대신와타나베 지후유무소속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문부대신다나카 류조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농림대신마치다 주지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상공대신사쿠라우치 유키오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체신대신고이즈미 마타지로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철도대신에기 다스쿠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9월 10일
하라 슈지로입헌민정당1931년 9월 10일1931년 12월 13일
척무대신하라 슈지로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9월 10일
와카쓰키 레이지로입헌민정당1931년 9월 10일1931년 12월 13일
내각서기관장가와사키 다쿠키치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법제국장관다케우치 사쿠헤이입헌민정당1931년 4월 14일1931년 11월 8일
사이토 다카오입헌민정당1931년 11월 9일1931년 12월 13일

[1] [2]

3. 2. 정무차관 및 참여관

정무차관과 참여관은 1931년(쇼와 6년) 4월 15일에 임명되었다.[5]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 정무차관야부키 쇼조귀족원/무소속(공정회)/남작
내무 정무차관후루야 요시타카중의원/입헌민정당
대장 정무차관다다 마사시중의원/입헌민정당
육군 정무차관이토 지로마루귀족원/무소속(연구회)/자작유임
해군 정무차관마키야마 고조중의원/입헌민정당
사법 정무차관야나미 타케지중의원/입헌민정당
문부 정무차관요코야마 킨타로중의원/입헌민정당
농림 정무차관니시무라 단지로중의원/입헌민정당
상공 정무차관마츠무라 기이치귀족원/무소속(공정회)
체신 정무차관고이케 지로중의원/입헌민정당
철도 정무차관스에마츠 카이이치로중의원/입헌민정당
탁무 정무차관무라사키 야스시로중의원/입헌민정당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 참여관다나카 다케오중의원/ 입헌민정당
내무 참여관고야타니 조조중의원/ 입헌민정당
대장 참여관마에다 후사노스케중의원/ 입헌민정당
육군 참여관히사 쇼헤이중의원/ 입헌민정당
해군 참여관나베시마 나오쓰라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자작
사법 참여관도자와 민주로중의원/ 입헌민정당
문부 참여관구도 데쓰오중의원/ 입헌민정당
농림 참여관오카모토 지쓰타로중의원/ 입헌민정당
상공 참여관사쿠라이 헤이고로중의원/ 입헌민정당
체신 참여관히라카와 마쓰타로중의원/ 입헌민정당
철도 참여관나카지마 야단지중의원/ 입헌민정당
탁무 참여관스기우라 다케오중의원/ 입헌민정당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의 정무차관과 참여관은 대부분 입헌민정당 소속이었다.

4. 주요 정책 및 사건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이후 병세 악화로 하마구치 내각이 사퇴하고,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로 지명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내각을 구성하였다. 당시 일본은 세계 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어려웠으며, 나카무라 대위 사건과 만보산 사건 등으로 국민들의 대중(對中) 감정이 악화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육군 일각에서는 '만몽(滿蒙)의 위기'를 강조하며 만주 문제를 무력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국가 개조'를 명분으로 황도파 군사정권을 수립하려는 쿠데타 모의가 발각되기도 하였다.

와카쓰키 내각은 만주사변에 대해 불확대 방침을 천명했지만, 조선군이 독단으로 월경하고, 의회가 이를 추인하면서 사태가 확대되었다. 와카쓰키 총리는 아다치 겐조 내무대신의 제안으로 거국 연립내각을 조직하려 했으나, 각료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결국 아다치 내상이 항명하는 사태까지 벌어져 내각은 총사퇴하게 되었다.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이노우에 재정''': 하마구치 내각에서 유임된 이노우에 준노스케 재무대신 하에서 긴축 재정 정책이 지속되었지만,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디플레이션과 불황이 계속되었다.
  • '''시데하라 외교''':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 하에서 대중국 유화 정책이 지속되었으나, 나카무라 대위 사건과 만보산 사건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반중 감정이 악화되면서 한계에 직면했다.
  • '''만주사변''': 1931년 9월 18일 관동군의 이시하라 간지 작전 참모 주도로 남만주철도를 폭파한 유조호 사건을 계기로 만주사변이 발발했다. 와카쓰키 내각은 불확대 방침을 내세웠지만, 조선군 사령관 하야시 센주로가 독단으로 월경, 와카쓰키 총리는 결국 이를 사후 승인하였다.[6]
  • '''10월 사건''': 만주사변 와중에 육군 내에서 국가사회주의에 기반한 사회 혁신을 일으키려는 쿠데타 모의가 발생했다. 쿠데타는 사전에 발각되어 주모자들이 검거되었지만, 이후에도 군 내부 및 재야에서 쿠데타와 테러를 용인하는 사상이 남아 2·26 사건까지 유사한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와카쓰키 내각은 아다치 겐조 내무대신의 "반란"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붕괴되었다. 와카쓰키 총리는 관동군과 국제 여론 사이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겪자, 아다치 내무대신에게 정권 타개를 위한 정우회와의 대연립 정권 ("협력 내각") 구성을 제안받았다. 그러나 시데하라 외상과 이노우에 준노스케 재상은 이에 반대했고, 와카쓰키 총리는 아다치 내상에게 협력 내각 계획 중지를 전달했다.[7]

하지만 와카쓰키 총리가 중신들과 상담을 거듭하면서 정권은 안정을 잃었고, 아다치 내상을 필두로 차기 정권을 노리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1월 8일에는 아다치 내상이 협력 내각 수립 담화를, 21일에는 성명을 발표하며 공개적으로 움직였다.[7]

와카쓰키 총리는 협력 내각을 철회하고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지만, 12월 10일 아다치 내상 측근과 정우회 간사장이 "협력 내각" 수립 각서를 교환하고, 와카쓰키 총리에게 전달했다. 같은 날 각의에서 와카쓰키 총리가 아다치 내상을 추궁했지만 결렬되었고, 아다치 내상은 각의 출석을 거부하며 각내 불일치가 발생했다.[7] 당시 총리에게는 각료 파면권이 없었기 때문에, 내각은 총사퇴할 수밖에 없었다.

4. 1. 대외 정책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후 병세가 악화되어 사퇴하자,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였던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내각을 조직하였다. 외교 방면에서는 중국이 러시아로부터 획득한 일본의 만주 권익을 반환하도록 요구하면서 나카무라 대위 사건과 만보산 사건이 발생하여 국민들의 반중 감정이 거세졌다. 시데하라 외교의 유화 노선에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6] 육군 일각을 중심으로 '만몽(滿蒙)의 위기'가 강조되어 여론에 호소하면서 만주 문제를 무력으로 해결하려는 기운이 높아져 갔다.[6]

1931년 9월 18일, 유조호 사건을 시점으로 만주사변이 발발하였다. 육군의 응급 파병이 검토되었지만, 다음 날 국무회의에서 육군대신 미나미 지로관동군 증원을 제의하지 못하고 사태 불확대 방침을 결정했다.[6] 그럼에도 조선군은 본국 정부의 방침을 거스르면서 독단으로 조만(朝滿) 국경을 넘었고, 의회가 예산을 승인하면서 만주 사변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7]

4. 1. 1. 시데하라 외교의 한계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이 주도한 대중국 유화 정책은 나카무라 대위 사건, 만보산 사건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중(對中) 감정이 악화되면서 한계에 직면했다.[6] 육군 일각에서는 '만몽(滿蒙)의 위기'를 강조하며 만주 문제의 무력 해결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6]

4. 1. 2. 만주사변 발발

1931년 9월 18일, 유조호 사건을 시작으로 만주사변이 일어났다. 일본 제국 육군의 파병이 검토되었지만, 다음 날인 19일 국무회의에서 육군대신 미나미 지로관동군 증원을 제의하지 못하고 사태를 확대하지 않는 쪽으로 방침을 결정했다.[6] 그러나 조선군이 본국 정부의 방침을 무시하고 독단으로 국경을 넘었다. 의회가 예산을 승인하면서 만주 사변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7] 이후 와카쓰키 내각은 국제연맹에 관동군을 점차 철수시키겠다고 약속하는 동시에, 일본이 현지 정세 안정을 위해 노력한다는 여론을 만들고자 했다.

4. 2. 국내 정책

하마구치 오사치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이후 병세 악화로 하마구치 내각이 사퇴하고,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로 지명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내각을 구성하였다. 당시 일본은 세계 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어려웠으며, 나카무라 대위 사건과 만보산 사건 등으로 국민들의 대중(對中) 감정이 악화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육군 일각에서는 '만몽(滿蒙)의 위기'를 강조하며 만주 문제를 무력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국가 개조'를 명분으로 황도파 군사정권을 수립하려는 쿠데타 모의가 발각되기도 하였다.

4. 2. 1. 경제 위기 심화

하마구치 오사치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이후 병세 악화로 하마구치 내각이 사퇴하고,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로 지명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내각을 구성하였다. 내정면에선 세계 공황의 여파에 따른 세입 감소를 모면하고자 행정 및 재정 정리가 시급하다고 판단, 그 시작으로 관리 감봉령이 실시되었고, 군제 개혁안을 통한 추가 군축도 모색했으나, 금 해금(金解禁) 이후로 생사(生絲)의 가격과 쌀값이 폭락해 실업자가 대량으로 속출하는 동시에 중소 기업과 농촌이 궁핍해졌다.[1]

4. 2. 2. 10월 사건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후 병세가 악화되어 하마구치 내각이 사퇴하고,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지명되어 조각(組閣)하였다. '국가 개조' 명분을 내걸며 황도파 군사정권을 수립하려는 쿠데타 모의가 발각된 10월 사건은 정계 상층부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1]

5. 내각의 붕괴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가 우익 자객에게 저격당한 후 병세가 악화되어 하마구치 내각이 사퇴하고, 후임 총리이자 민정당 총재로 지명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내각을 구성하였다. 1931년 9월 18일, 유조호 사건을 시점으로 만주사변이 발발하였다. 육군의 응급 파병이 검토되었지만, 다음 날인 19일 오전 10시의 국무회의에서 육군대신 미나미 지로관동군 증원을 제의하지 못한 채 사태 불확대 방침을 결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군은 본국 정부의 방침을 어기면서 독단으로 조만(朝滿) 국경을 넘어갔다. 의회가 예산을 승인하면서 만주 사변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와카쓰키 총리는 내무대신 아다치 겐조의 제안으로 영국처럼 군부를 억제할 수 있는 거국 연립내각을 조직하고자 야당 정우회와의 연정 가능성을 모색했다. 그러나 각료들이 거국 내각 구상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자 총리는 이를 단념하려 했지만, 아다치 내무대신이 '초지일관하지 못하다'며 항명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아다치는 사임을 요구받았음에도 거절하였다. 일본제국 헌법하에서 총리대신에겐 각료 파면권이 없었으므로, 내각은 총사퇴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econd Wakatsuki Cabinet http://www.kantei.go[...]
[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昭和6年4月14日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昭和6年9月10日
[4] 간행물 『官報』第1460号「叙任及辞令」「彙報」、昭和6年11月10日
[5] 간행물 『官報』第1286号「叙任及辞令」、昭和6年4月16日
[6] 문서 関東軍の指揮権は本来、大元帥である天皇を輔弼(命令に伴って生じる結果責任を天皇にかわって負うことを法的に義務付けられること)する形で関東軍司令官が有しているが、この時は金谷参謀総長の要望によって一時的に天皇から参謀総長に委任され、参謀総長から関東軍に命令が下された。
[7] 문서 加藤内閣は憲政会と政友会の連立内閣であったが、政友会が野党政友本党と野合して多数派工作を行い、閣内不一致による総辞職、政権奪取を目論んだ。しかしこの時は、選挙による民意を無視した政治的野望に基づいた造反であったことから、西園寺公望元老はこれを認めずに、政友会を排除する形で加藤内閣は継続して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